본문 바로가기
생활정보

사회초년생이 가입할 수 있는 정부지원 통장 10가지

by 짱짱7 2025. 4. 1.

 

사회초년생이라면 정부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금융 상품을 활용하여 목돈을 모으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번 글에서는 청년을 위한 10가지 정부지원 통장을 소개해 드릴게요! 😊


1. 청년도약계좌

가입 대상: 만 19~34세, 연소득 7,500만 원 이하
혜택: 월 최대 70만 원 저축 시 정부 지원금 최대 2만 4천 원 지급
특징: 5년 만기 시 최대 5,000만 원 자산 형성 가능


2. 청년내일채움공제

가입 대상: 중소·중견기업 재직 청년(만 15~34세)
혜택: 2년형 – 본인 300만 원 저축 시 1,200만 원 수령
특징: 목돈 마련 가능, 중도 퇴사 시 일부 금액만 받을 수 있음


3. 청년희망적금 (현재 모집 종료, 추후 재개 가능)

가입 대상: 만 19~34세, 연소득 3,600만 원 이하
혜택: 연 4~6%의 높은 금리 제공 + 정부 저축 장려금 지급
특징: 이자 소득세 비과세 혜택


4. 청년우대형 청약통장 (현재 신규 가입 종료, 기존 가입자는 유지 가능)

가입 대상: 만 19~34세, 연소득 3,600만 원 이하
혜택: 금리 최대 3.3% 우대 + 이자 소득세 감면 + 주택청약 기능 포함
특징: 무주택 청년이 내 집 마련을 위한 필수 통장


5. 청년저축계좌 (차상위계층 및 기초생활수급자 대상)

가입 대상: 만 15~39세, 근로·사업소득 있는 차상위계층 또는 기초생활수급자
혜택: 본인이 월 10만 원 저축하면 정부가 30만 원 추가 지원
특징: 3년 유지 시 총 1,440만 원 + 이자 지급


6.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금

가입 대상: 만 18~40세 농업 창업 청년
혜택: 월 80만 원씩 최대 3년간 지급 (총 2,880만 원)
특징: 귀농·귀촌 청년을 위한 정부 지원금


7. 희망두배 청년통장 (서울시 지원) (지역별 상이)

가입 대상: 서울 거주 만 1834세, 연소득 2,800만 원 이하
혜택: 본인이 10~15만 원 저축하면 서울시가 동일 금액 추가 지원
특징: 2
3년 후 2배로 돌려받는 저축 상품


8. 청년동행카드 (교통비 지원)

가입 대상: 중소기업 재직 청년 (만 19~34세)
혜택:5만 원 교통비 지원 (연 최대 60만 원)
특징: 정기권, 대중교통비 절약 가능


9. 청년 맞춤형 전·월세 대출

가입 대상: 만 19~34세, 연소득 5,000만 원 이하
혜택:

  • 전세대출: 최대 2억 원(연 1~2% 저금리)
  • 월세대출: 월 최대 40만 원(최대 960만 원)
    특징: 저금리로 주거 부담 감소

10. 청년 창업 지원 통장 (소상공인 지원금 포함)

가입 대상: 만 39세 이하 창업 청년
혜택: 창업 자금 지원, 창업 준비 비용 대출, 사업 운영 자금 지원
특징: 정부 및 지자체별 다양한 창업 지원 프로그램 존재


📌 마무리: 정부지원 통장으로 재테크 시작하기!

사회초년생 시기부터 정부에서 제공하는 지원 통장을 적극 활용하면 목돈을 모으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. 가입 조건과 신청 기간을 미리 확인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해 보세요! 😊

📌 추가 정보 확인: